마을활동
- 복지관 소개/사업 소개
- 2018. 6. 27. 19:02
‘친구야 놀자’
친구야 놀자 소개
아이들이 자연에서 골목에서 마을에서 가족과 이웃의 도움으로 친구와 신나게 놉니다.
잘 놀고 건강하게 자라도록 놀 틈, 놀 터, 놀 친구를 만들어줍니다.
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이웃과 함께할 놀이를 기획하고 친구들과 이웃들과 함께 놉니다.
친구, 가족, 이웃과 관계가 깊어지도록 돕습니다.
세부내용
- 방화동 골목놀이터 : 지역인사, 기획회의, 친구 가족 이웃과 함께 어울려 노는 기획 놀이 진행, 감사인사
- 방화동 배움놀이터 : 지역인사, 기획회의, 마을 선생님 섭외, 선생님께 요리활동 배우기, 감사인사
- 공항동 '환경과놀자' : 지역인사, 기획회의, 걷기, 등산, 숲과 계곡, 자연에서 신나게 놀기, 감사인사
활동일시
- 방화동 골목놀이터 : 3월~6월, 8월~11월 / 매주 수요일 14:00~16:00
- 방화동 배움놀이터 : 7월~11월 / 매주 수요일 14:00~16:00 / 여름방학 중점 활동 진행
- 공항동 '환경과놀자' : 5월~11월 / 격주 1회 활동 /
참여자
- 초등학교 1~6학년
담당자
- 방화동 골목놀이터 : 곁에있기팀 김민지 사회복지사
- 방화동 배움놀이터 : 곁에있기팀 박성빈 사회복지사
- 공항동 '환경과놀자' : 이어주기팀 유혜숙 사회복지사
공간개방사업
공간개방사업 소개
주민들이 복지관의 공간을 무료 또는 유료로
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대여해준다.
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복지관의 개방시간을 연장한다.
개방시간
평일 09:00~20:00
토요일 09:00~15:00
대여가능 장소
복지관 내 프로그램실, 본관 강당, 별관 강당 등
대여요금
[강당]
- 지역주민 및 단체 등 비영리집단의 집회 : 기본(1시간) 30,000원 / 1시간 추가시 20,000원
- 교육 등 판매행위가 아닌 영리집단의 집회 : 시간당 50,000원
대여방법
방문 및 전화문의 후 사용가능
담당자
함께걷기팀 신택원 안전관리
동네, 안녕! 사업
동네, 안녕! 사업 소개
지역주민과 함께 인사캠페인을 하여 지역사회에 인사문화를 확산하는 사업입니다.
- 가족과 인사하는 인사캠페인
- 이웃과 인사하는 인사캠페인
- 친구와 인사하는 인사캠페인
활동일시
- 연중 (수시)
참여자
- 방화2동, 공항동 지역주민
- 방화2동, 공항동 지역사회 (상가, 주택, 학교 등)
담당자
- 총괄 담당 : 곁에있기2팀 이미진 사회복지사
- 본 사업은 이어주기팀, 곁에있기1팀, 곁에있기2팀 전 직원이 함께하는 사업입니다.
동네사람들
동네사람들 소개
지역주민이 동네 잔치를 구실로 이웃과 인정을 나누며 이웃사촌을 만드는 사업입니다.
활동시기
- 2월 : 설날 잔치
- 5월 : 가정의달 잔치
- 7월 : 복날 잔치
- 9월 : 추석 잔치
- 11월 : 김장철 잔치
참여자
- 방화2동, 공항동 지역주민
담당자
- 총괄 담당 : 곁에있기1팀 손혜진 팀장
- 본 사업은 이어주기팀, 곁에있기1팀, 곁에있기2팀 전 직원이 함께하는 사업입니다.
사회복지 현장실습 (단기사회사업)
세부내용
- 실무 지원 : 실무를 거들고 좋은 자극과 기운을 줍니다.
- 인재 양성 : 사회사업 현장을 지키고 이끌어 갈 인재를 키웁니다.
- 정서 지원 : 사회사업 재미와 감동, 우정과 낭만을 누리게 합니다.
활동일시
여름, 겨울 약 한 달 간
참여자
사회복지전공 대학생
담당자
곁에있기1팀 권대익 주임
자원봉사관련사업
자원봉사관련사업 소개
어르신가정 밑반찬배달, 청소년멘토링활동 등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통해
지역사회 발전과 원활한 복지사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가 있습니다.
활동일시
매주 월~토요일(*상담 후 확정)
참여자
지역주민 및 자원봉사활동 희망자 누구나(자원봉사가입신청서 작성 필요)
담당자
소통하기팀 김수재 선임과장
후원사업 - ‘후원금 및 후원품사업’
후원사업 소개
결연후원, 지정후원, 비지정후원을 통해 지역의 어려운 분들과 원활한 복지사업 운영에 기여할 수가 있습니다.
후원방법
후원계좌: 국민은행 459637-94-100288(예금주: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)
우리은행 155-05-005211(예금주: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)
*후원금액이나 후원물품 수량에 상관없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후원이 가능합니다.
(후원신청서 작성 필요)
참여자
지역주민 및 후원자 누구나
담당자
소통하기팀 김수재 선임과장